▣ 노인일자리 사업의 목적
ㅇ 어르신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 · 사회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
▣ 사업 근거 : 노인복지법 /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
□ 노인복지법 제23조, 제23조의2, 제24조
ㅇ 제23조(노인사회참여 지원)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하여 노인의 지역봉사 활동 기회를 넓히고 노인에게 적합한 직종의 개발과 그 보급을 위한 시책을 강구하며 근로능력 있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.
ㅇ 제23조의2(노인일자리 전담기관의 설치・운영 등)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을 설치・운영하거나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법인・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.
ㅇ 제24조(지역봉사지도원 위촉 및 업무)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사회적 신망과 경험이 있는 노인으로서 지역봉사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이를 지역봉사지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.
□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1조, 14조
ㅇ 제11조(고용과 소득보장):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일할 의욕과 근로능력이 있는 고령자가 최대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.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연금제도 등 노후소득보장체계를 구축하고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국민이 경제적으로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.
ㅇ 제14조(여가・문화 및 사회활동의 장려):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노후의 여가와 문화 활동을 장려하고 이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.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원봉사 등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.
참고문헌 : 2023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(보건복지부, 2023)
'사회적경제, 사회적기업, 사회복지학 논의 > 사회복지, 사회정책, 사회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년 기초연금 수급을 위한 자격 요건 (0) | 2024.02.04 |
---|---|
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이용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3.04.23 |
결혼여부가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(0) | 2023.03.18 |
청년 1인 가구의 교육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(0) | 2023.03.17 |
중장년 1인 가구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및 해결 방안에 대한 고찰 (0) | 2023.03.16 |
댓글